이영 (196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영 (1969년)은 IT·보안 전문가 출신으로,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이후 카이스트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했다. 국회의원 활동 당시 디지털 정당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디지털 전환을 강조했으며, 고용보험법,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 다양한 법안을 발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박영선 (정치인)
박영선은 MBC 아나운서, 기자, 앵커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 여성 최초 민주당 정책위의장 및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권칠승
권칠승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기도의회 의원과 제20대, 21대 국회의원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윤석열 정부의 국무위원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윤석열 정부의 국무위원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동문 - 김병관 (1973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인 김병관(1973년)은 서울대 경영학과와 카이스트 산업경영학과 석사 졸업 후 벤처기업 솔루션홀딩스 창업, NHN 대표이사, 웹젠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IT 및 게임 산업에서 경험을 쌓았고, 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의원, 국회의장 디지털혁신자문관 및 비서실장을 지냈다. - 한국과학기술원 동문 - 권오현 (1952년)
권오현은 삼성전자 부회장과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삼성전자에서 연구원, 이사, 사장 등을 거쳐 대표이사 부회장과 회장을 지냈다.
이영 (1969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영 |
국적 | 대한민국 |
![]() | |
출생일 | 1969년 6월 6일 |
학력 | 광운대학교 수학과 학사 KAIST 수리과학과 석사, 박사 |
정당 | 국민의힘 |
경력 | |
경력 | 미래통합당 경제혁신위원회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원회 미래통합당 인국공 공정채용TF 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회 위원장 |
의정 활동 | |
지역구 | 비례대표 |
소속 상임위원회 |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21 |
기타 직책 | |
서명 및 웹사이트 |
2. 생애
20년간 소프트웨어벤처기업을 운영하며 강소기업으로 일궈낸 IT·보안 전문가이다. 2020년 4월 총선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이후 카이스트에 복학하여 늦깎이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
미래통합당 당선자 총회에서 "선거기간 내내 너무나 디지털화가 되어 있지 않고 의사결정이 데이터 기반하지 않는 점에 매우 큰 충격을 받았다"며 "과학기술 경제강국 대한민국을 이끌기 위한 정책, 법안 입안에 노력"하겠다고 발언했다.[1] 2020년 8월 3일 미래통합당 신임 주요 당직자 임명식에서 디지털정당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이어진 인사말에서 "당이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을 이용하여 국민과 소통하고 내부적으로는 의원, 당직자, 보좌진 간 협업의 속도를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3. 정치 활동
이영 의원과 의원실(보좌직원)의 팀명(애칭)은 올리브 영 (all live young)이다. CJ올리브영(Olive young)의 이름을 차용한 것으로 '모두가 젊게 산다'는 뜻과 '모두가 이영 의원을 위해 산다'는 보좌직원들의 의지와 각오를 재치있게 담은 이름이라고 한다.[2]
IT기업인 출신답게 당선자 총회 인사에서부터 미래통합당의 디지털화를 강조했다. 21대 국회에서 최초로 전자발의를 활용했으며, 코로나19의 수도권 재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되기 전부터 팩스와 친전, 전화에 의존하고 있는 업무방식을 디지털화 할 수 있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고 한다.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중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정무위원회 첫 업무보고 전체회의에서 국무조정실장에게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뉴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백선엽 장군에 대한 논란에 대해 육군 3성 장군 출신인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에게 국방부에서 만든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 내용을 보여주며 '군에서는 이렇게 가르치는데 사회에 나오니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면 납득이 가겠냐'는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3. 1. 대표 발의 법안
이영 의원은 고용보험법, 국가보훈 기본법,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등 다양한 분야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1] 특히, 벤처기업 육성과 관련된 법안 발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힘썼다.
발의일 | 법안명 | 공동 발의자 수 |
---|---|---|
2020-08-24 | 고용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 | 12인 |
2020-08-24 | 국가보훈 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 11인 |
2020-08-20 |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일부개정법률안 | 11인 |
2020-08-20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 | 13인 |
2020-06-23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 11인 |
2020-06-12 |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 | 15인 |
2020-06-12 |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 | 15인 |
2020-06-12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개정법률안 | 13인 |
4. 학력
5. 주요 경력
- 2010.07 ~ 2020.05: 테르텐 대표이사
- 2014.01 ~ 2016.0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사
- 2014.10 ~ 2017.10: 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 2015.02 ~ 2017.02: 제9대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 2021.09 ~ 2022.04: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 2021.09: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공약개발단 시민소리 혁신정책회의 디지털혁신단장
- 2021.10 ~ 2022.03: 국민의힘 이재명비리 국민검증 특별위원회 위원
- 2021.12: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홍보미디어총괄본부 디지털본부장
- 2022.02: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공명선거·안심투표 추진위원회 위원
- 2022.03 ~ 2022.05: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기획분과위원
- 2022.05 ~ 2023.12: 제4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2022.05 ~ 2023.12: 대통령 직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당연직 위원
- 2022.07 ~ 2023.07: 국민통합위원회 당연직 위원
- 2023.07 ~ 2023.12: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당연직위원
- 2024.03 ~ 2024.04: 국민의힘 4·10 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격차해소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5. 1. 의정 활동
李永|이영한국어은 2020년 5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미래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소속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기간 | 활동 내용 |
---|---|
2020.07 ~ 2020.11 | 제21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
2020.07 ~ 2022.05 | 전환기 한국경제 포럼 구성의원 |
2020.11 ~ 2021.01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2021.01 | 제21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 위원 |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위원 | |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 |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 | |
2021.03 ~ 2022.05 | 국회 글로벌 혁신 연구포럼 구성의원 |
2021.09 | 제21대 국회 대법관(오경미)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1.11 ~ 2022.04 | 제21대 국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문상부)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2.04 ~ 2022.05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간사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 제2소위원회 위원장 | |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위원 | |
2022.04 | 제21대 국회 국무총리(한덕수)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2.05 | 제21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16년 | 총선 | 새누리당 | 7,960,272 (33.50%) | 비례대표 30번 | 낙선 | 승계 불능 |
2020년 | 총선 | 미래한국당 | 9,441,520 (33.84%) | 비례대표 13번 | 당선 | 초선 |
참조
[1]
Youtube
https://www.youtube.[...]
[2]
뉴스
이영 의원 "벤처, ICT 분야 케케묵은 현안 반드시 해결"
https://news.naver.c[...]
ZDNet Kor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